정답은 바로 ISA
ISA (Individual Saving Account) 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로 연 2,000만원 납입한도에서 예적금·펀드·파생결합증권과 같은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할 수 있는 계좌를 말합니다. 한 계좌에서 다양한 상품에 동시 투자할 수 있고 발생한 소득에는 세제 혜택도 있어 '만능통장'으로 불린다.
ISA 종류는?
가입요건에 따라 유형이 나뉘고
운용방식에 따라 상품이 나뉩니다
1. 신탁형 : 투자자가 1:1로 운용을 지시 / 금융상품을 마음대로 고르는 것
2. 일임형 : 미리 만들어 놓은 포트폴리오에 맡기는 것 / 전문가에 의해 설계된 상품에 투자 / 공격형, 안정형 선택가능
3. 중개형 : 신탁형 + 주식 / 직접 국내상장 주식 매매 및 금융상품을 운용
ISA 비중에서 신탁형이 많은 이유는 금융회사 통틀어 1인 1계좌만 가능한데 첫 출시때는 은행에서만 만들 수 있었고 이때 대부분이 신탁형을 선택했습니다. 그런데 ISA는 이동하기 위해서는 기존것을 옮기거나 해지하고 새로 가입해야 하는데 그 과정이 행정적으로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중도해지 하게 되면 손실이 발생하여 처음 만들었던 그대로 많이 남아있습니다.
어느것이 좋으냐고 묻는다면 중개형이 좋고 대상에 따라 일임형도 추천합니다.
1. 수수료는 어떻게 되나?
답 : 안전한 상품 수수료 저렴, 공격적인 상품일수록 수수료 비싸다.
일임형 같은 경우
안정형(주로 예금, 채권형 펀드)의 경우 연0.1~0.2% 정도
공격형(주식형 펀드 등)의 경우 연1~2% 정도. 천만원이면 연 10~20이 수수료로 나간다.
신탁형
신탁형을 선택하는 경우 똑같은 상품일지라도 은행,증권사 마다 수수료 다르다
가입 전 체크는 이렇게 !
1. 상품을 먼저 정한다
2. 어느 회사가 수수료가 저렴한지 검색 후 가입 ( 비교 꿀팁! 'ISA 다모아' 에서 매달 신탁형 ISA 수수료 공시)
2. ISA 증권사, 은행 어디서 가입하는게 좋을까? / 답 : 증권사 추천
중개형(주식이 가능)은 증권사 밖에 가입이 안되며 증권사가 상품이 다양해 증권사를 추천
3. ISA로 소득 발생하면 건보료 더 내나요? / 답 : 아니요
-> 금융소득은 연 1천만 원 초과 시 해당금액 전부를 소득으로 보지만 ISA는 금융소득으로 보는 금융상품 해당 안됨
금융소득이 1천만원을 초과하게 되어 소득으로 분류가 되면 아래와 같은 건보료 책정방식에 의해
지역가입자는 바로 건보료에 영향을 미치고 직장가입자의 경우에는 현재는 3,400 만원 이지만 올 7월 이후에는 연 2,000 만원을 넘어가면 초과분에 대해 건보료가 추가 된다.
그렇다면 금융소득은 어느 금융상품까지 해당되는가?
ISA는 전액 비과세가 아니고 200만원 초과는 분리과세 / 분리과세 소득은 통보대상 아님 ( 단, 주택임대소득은 분리과세도 통보)
즉, ISA는 건보료 무풍지대
그럼 참고로 ELS는 건보료 직접 영향 미치나?
ELS 발생하는 소득경우 15.4% 소득세 납부, 납부 후 이익 연 1천만원 초과 시 소득으로 잡힌다
해외주식형 펀드 상품의 배당소득, 해외주식의 배당금도 연 1천만원 넘어가면 소득으로 인정
영상은 아래 참고하세요
'그 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 땅 샀다! (천안 토지투자 기록) (0) | 2022.04.14 |
---|---|
비영리(임의)단체 고유번호증 셀프 승인신청 방법 및 후기 / 행정사 필요없지롱 (0) | 2022.03.25 |
건강보험료 2단계 개편 / 22년 7월 시행 / 주택금융부채 공제 / 지역가입자 (0) | 2022.03.21 |
상속과 증여의 차이점은? 공통점은? 뭐가 더 유리할까? (0) | 2022.03.13 |
5차 긴급 고용안정지원금 (특고·프리랜서) 신규신청 및 신청기간 (1) | 2022.03.10 |